close

한국일보
오피니언

‘호수 속 달 그림자’는 누가 좇았을까

댓글 6 2025-02-28 (금) 노세희 사회부장
건전한 댓글 문화 운영 원칙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1. 댓글 삭제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1. 타인에 대한 욕설 또는 비방
  2. 인신공격 또는 명예훼손
  3. 개인정보 유출 또는 사생활 침해
  4. 음란성 내용 또는 음란물 링크
  5. 상업적 광고 또는 사이트/홈피 홍보
  6. 불법정보 유출
  7. 같은 내용의 반복 (도배)
  8. 지역감정 조장
  9. 폭력 또는 사행심 조장
  10. 신고가 3번 이상 접수될 경우
  11. 기타 기사 내용과 관계없는 내용
2. 권한 제한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
0 /300자

6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 hongtchung

    구멍가게 주인도 자기의 무능과 잘못을 안다. 윤속열은 무능에다 거짖말로 자기가 한말도 아니다라고 무인하는 파렴치한 놈이다. 이글을 쓴 노세희 부장의 말에 적극 동감하며, 아래의 댓글을 쓴 인간들이 참 한심하다. 정신들 차려라.

    03-02-2025 14:33:47 (PST)
  • nkd514

    윤석열,한동훈등의 법치유린 패륜적'박근혜사기탄핵'사건이없었다면 ,허망한개꿈 '대왕고래의꿈'같은 사건없었을것이며, '엄중한비상계엄'사건도 없었을것이다. '국민저항'은 조선말 동학혁명 그때나 가능한것이었으며, 비상계엄은 5.18같은 극도의 혼란상황에서나 가능한일이었을것같다. 파멸적12.3계엄으로 거짓과 사기, 음모질이 더 더욱넘쳐난다. 정의가자리잡아야하며, 기강, 법치가 자리매김해야한다. 진실의시간은 녹슬지않는다- 박근혜탄핵원천무효! 김반장. (항접반장 김창조)

    03-02-2025 06:18:54 (PST)
  • parasitedaily5

    로태우가ㅠ화교인게 들통났고 낌땡쭝이도 화교인게 매우 가능성이 높고 놈혀니도 화교인거ㅠ같고...로씨는 화교가 너무 많은거 같다...이 글을 쓴 로쇠희 사회부장도 화교이던지 화교ㅠ돈받아먹고 이ㅜ기사르루쓴게 매우 의심스럽다....기생충일보에서 화교일보로 이ㅜ신문의 정체가ㅜ드러나고 있다..

    03-01-2025 12:54:32 (PST)
  • parasitedaily5

    어차피 화교지령을 따라야 하니...무슨 일이 있더라도 화교 지령으루않따르면 자기 정체가 탄로나 깜빵에 갈신세..헌죄판새덜은 다 사기로 고시패스했던지 고시조차 패스못하고 얼렁뚱땅 그 동안 내린 모든 판결이나 행동이 화교덜이ㅜ대신 내려준 판결이던지 그 지령을 따라한 사기였고 개학 입학도 사기쳐서 입학한거 같고 그동안 뒷돈도 화교한테ㅜ챙긴거ㅜ같다...일평생이.사기 그 자체인 헌죄판새덜이니....뭐를 기대할 가치조차 없고 다 수사하여 깜빵에ㅡ보내고 헌죄자체를 없에고 대법원으로 보내야한다...

    03-01-2025 12:50:56 (PST)
  • oscur

    헌법수호 의자가 없는 코미디 헌재. 완전 불법으로 진행하고. 어차피 블슨한 이념으로 재판하려면 공판이 왜 필요한가? 계엄은 대통령의 권한. 2시간 짜리 내란도 있나? 권력을 쥔 사람이 왜 내란을 일으키나? 그 단서가 된 홍장원의 메모도 사기로 드러났고 필적을 조회하니 박선원의 것으로 판명. 이런데도 밀어부친다? 인용되면 한국의 전세계의 웃음거리가 될 것.

    02-28-2025 08:32:05 (PST)
1
2


KTOWN1번가 프리미엄 광고

  • 부동산부동산
  • 자동차자동차
 

많이 본 기사

이전 다음
1/5

오피니언

이전 다음
1/3

지사별 뉴스